본문 바로가기
화학(Chemistry) 저장소

친핵성 치환반응(Nucleophilic Substitution Reaction)의 메커니즘 정리

by daretoshine 2025. 2. 18.

1. 친핵성 치환반응(Nucleophilic Substitution Reaction)의 기본 개념

 친핵성 치환반응(Nucleophilic Substitution Reaction)은 유기화학에서 중요한 반응 유형 중 하나로, 분자의 친핵체(Nucleophile)가 기존 작용기를 치환하는 반응입니다. 주로 할로알케인(알킬 할라이드 또는 할로젠화 알킬 : 지방족 포화 탄화수소의 수소원자 1개를 할로젠 원자로 치환한 화합물, R-X)과 같은 분자에서 발생하며, 반응의 형태에 따라 SN1 반응과 SN2 반응으로 나뉩니다. 다음은 친핵성 치환반응을 설명하기 전 알아두어야 할 개념을 용어와 함께 정리해 보겠습니다. 

  • 친핵체(Nucleophile, Nu⁻) : 전자를 공급하는 화학종 (전자밀도가 높은 음전하 또는 비공유 전자쌍을 가진 분자)
  • 이탈기(Leaving Group, LG) : 분자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작용기 (보통 전기음성도가 높은 원자나 이온)
  • 기질(Substrate) : 치환반응이 일어나는 분자 (보통 탄소 중심을 가지고 있음)

다음은 일반적인 친핵성 치환반응 식을 나타낸 것 입니다. 

R−X +Nu− → R−Nu + X−

여기서,

  • R-X : 기질(알킬 할라이드 등)
  • X⁻ : 이탈기(보통 할로겐)
  • Nu⁻ : 친핵체(전자밀도가 높은 분자)

2. 친핵성 치환반응의 두 가지 메커니즘

 친핵성 치환반응은 반응 메커니즘에 따라 SN1 반응과 SN2 반응으로 나뉩니다. 그중 하나인 SN1(단분자 친핵성 치환, Substitution Nucleophilic Unimolecular) 반응은 반응이 2단계로 진행되며, 속도 결정 단계에서 기질이 먼저 해리하여 중간체인 탄소양이온을 형성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다른 하나는 SN2(이분자 친핵성 치환, Substitution Nucleophilic Bimolecular) 반응으로 반응이 한 단계에서 일어나며, 친핵체가 기질의 탄소를 공격하면서 동시에 이탈기가 떨어지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1) SN1 반응 (Unimolecular Nucleophilic Substitution)

① SN1 반응 메커니즘

  1. 첫 번째 단계 (속도 결정 단계)
    • 탄소-할로겐 결합이 해리되어 탄소양이온이 형성됩니다. (R−X → R+ + X−)
    • 이 단계는 가장 느린 단계이며, 반응 속도는 기질의 농도에 의존합니다.
  2. 두 번째 단계
    • 형성된 탄소양이온에 친핵체가 공격하여 최종 생성물이 형성됩니다. (R+ + Nu− → R−Nu)
    • 반응물의 입체 구조가 유지되지 않고, 라세미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② SN1 반응 특징

  • 단계적 반응 : 두 단계로 진행됨.
  • 기질 : 3차 알킬 할라이드(알킬 할로겐화물)에서 가장 잘 일어남.
  • 용매 : 극성 양자성 용매(물, 알코올 등)가 반응을 촉진.
  • 속도 결정 단계 : 기질이 먼저 이탈기를 잃고 탄소양이온을 형성하는 단계가 가장 느려 반응 속도를 결정함.
  • 1차 반응속도 : Rate=k[R−X] (친핵체 농도와는 무관)
  • 입체화학적 특징 : 중간체인 탄소양이온은 평면 구조이므로, 친핵체가 공격하는 방향에 따라 라세미화(Racemization)가 가능합니다.

③ 반응이 일어나기 유리한 조건

  • 3차(tertiary) 탄소 중심이 있는 기질 : 안정한 탄소양이온을 형성하기 쉬움.
  • 강한 이탈기 존재 (예 : I⁻, Br⁻, Cl⁻)
  • 극성 양자성 용매(Polar Protic Solvent) : 탄소양이온을 안정화함 (ex: 물, 에탄올)

④ SN1 반응의 예시

  • tert-부틸 브로마이드 + 물 → tert-부틸 알코올
  • 벤질 할라이드나 알릴 할라이드와 같은 안정한 탄소양이온 형성 기질에서 잘 일어남

2) SN2 반응 (Bimolecular Nucleophilic Substitution)

① SN2 반응 메커니즘

  • 단계 : 친핵체가 기질의 탄소를 공격하는 동시에 이탈기가 떨어지며 반응이 완료됩니다. 이 과정은 동시적(concerted)이며 한 단계에서 진행됩니다. (R−X + Nu− → [R−X−Nu]‡ → R−Nu + X−)
  • 입체 효과 : 공격은 항상 반대쪽(backside attack)에서 이루어지며, 입체 반전(inversion of configuration, 왈덴 반전)이 일어납니다. 즉, 생성물의 입체화학이 반응 전과 반대가 됩니다.

② SN2 반응 특징

  • 단일 단계 반응 : 친핵체가 공격하는 동시에 이탈기가 제거됨.
  • 기질 : 1차 알킬 할라이드가 반응하기 가장 유리하며, 3차 기질에서는 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음.
  • 용매 :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DMSO, 아세톤 등)에서 반응성이 높아짐.
  • 속도식 : 속도 = k[기질][친핵체] (2차 반응 속도)
  • 입체화학 : 입체 반전 발생(왈덴 반전).

③ 반응이 일어나기 유리한 조건

  • 1차(primary) 탄소 중심 기질: SN2 반응이 쉽게 진행됨.
  • 강한 친핵체(ex: OH⁻, CN⁻, SH⁻)
  •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Polar Aprotic Solvent) : 친핵체를 활성화 (ex: DMSO, DMF, 아세톤)

④ SN1 반응의 예시

  • 메틸 브로마이드 + NaOH → 메틸알코올
  • 1차 알킬 할라이드 + 강한 친핵체(KCN, NaOH, NaSH 등) → 치환 생성물

3) SN1 vs SN2 반응 비교

  SN1 반응 SN2 반응
반응 속도 기질의 농도에 의존 (1차 속도)
Rate=k[RX]
기질과 친핵체의 농도에 의존 (2차 속도)
Rate=k[RX][Nu]
반응 단계 2단계 (탄소양이온 중간체 형성) 단일단계 (동시적 진행, 전이상)
친핵체 영향 친핵체 영향 적음 강한 친핵체 필요
기질 선호도 3차(tertiary) > 2차(secondary) > 1차(primary) 1차(primary) > 2차(secondary) > 3차(tertiary)
입체화학 라세미 혼합물 생성 입체 반전(왈덴 반전) 발생
용매 극성 양자성 용매 선호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선호

 

4) 친핵성 치환 반응의 실제 응용

  1. 의약품 합성
    • 많은 의약품은 친핵성 치환 반응을 활용하여 합성됩니다.
    • 예: β-차단제(심혈관 질환 치료제), 항생제(페니실린 유도체)
  2. 농약 및 화학 제품
    • 살충제 및 제초제의 주요 합성 경로로 사용됨.
  3. 고분자 및 플라스틱 제조
    • PVC(폴리염화비닐) 합성 과정에서 중요한 반응.